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유튜브요약] 공부머리를 기르는 독서법_최승필 '공부머리 독서법' 저자, 독서교육 전문가
    알아두면 쓸데있는 것들 2024. 2. 28. 23:33

    볼 때는 아~ 하지만, 보고 나면 금세 어떤 내용인지 잊어버리기 일쑤인 건 저뿐인가요?

    좋은 내용일수록 한번 보는걸로 끝내지 않고 머릿속에 더 저장하려면 어떤 방법이 있을까 고민하다가

    유튜브 요약을 해보자 결심했습니다.

    오늘 요약해 볼 유튜브는 '공부머리 독서법' 이라는 책을 쓴 최승필 독서교육 전문가의 강연 영상입니다.

    현대 아이들과 어른들의 독서 문화가 붕괴되어 있다는 문제를 제기하며, 언어 능력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초등학생부터 성인까지 읽기와 이해력이 부족한 현실을 확인하고, 책을 읽는 습관을 형성하는 것이 해결책이라고 말합니다. 

    재미있는 책을 재미있게 읽는 것만으로도 언어 능력은 크게 향상되고, 독서 인생이 시작된다고 강조합니다.

     

    1. 도서관람력 저하, 인터넷이 대안이 되는 추세

    • 요즘 학생들은 공부는 설명을 듣는 방식으로 하고, 책은 학습만화를 읽고, 쉴 때는 스마트폰을 한다.
    • 또한 어른 10명 중 4명은 연간 한 권의 책도 읽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독서문화가 붕괴된 상황임을 보여준다.
    • 교과서의 언어 수준을 따라가야 읽고 이해하고 공부할 수 있다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고 말하고 있다.

    2. 한국 초, 중, 고등학생의 언어 능력

    • 한국 초등 5,6학년5, 6학년 대상 기초 언어능력 평가에서 초등 5, 6학년 수준이 평균 언어 능력으로 나왔다.
    • 다만, 평균적으로 높은 결과가 나왔던 이유는 평가에 참여한 학부모들이 교육에 많은 관심을 가졌기 때문이다.
    • 이를 통해 학부모들의 역할과 교육방식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인식할 수 있었다.
    • 따라서 학부모가 아이들에게 책을 많이 읽히며 독서 교육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 이는 언어 능력뿐 아니라 학습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3. 교육 현장에서의 언어 능력 평가 결과

    • 한국의 교육 현장에서는 민주주의적인 방식으로 학생들의 언어 능력을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중학 1~3학년 생과 고등학교 1, 2학년 생 또한, 초등 5, 6학년 수준으로 측정되었다.

    4. 낮은 언어 능력 수준에 따른 학습 문제

    • 학생들의 언어 수준이 교과서와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 학습적인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 최근 4년간 국포자, 영포자, 수포자 증가에 이어, 기초 학력 미달자의 숫자가 2배 늘어난 것이 수치상으로 증명되었다.
    • 학생들이 공부를 더 해도 학업 성취도가 떨어지는 이유는, 학생들이 자신들의 학년의 교과서를 읽고 이해할 수 있는 언어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 한국은 세계적으로 학력이 높은 나라로, 핀란드와 함께 1, 2위를 다툴만한 나라이지만 최근 4년 간 다른 나라들과의 괴리가 심해지고 있다.
    • 학습 강도는 급격하게 높아지면서도, 학생들의 언어 능력 수준은 떨어지는 추세. 국가와 교육계는 이 문제를 더욱 심각하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

    5. 언어 능력 교육의 중요성

    • OECD에서 5년마다 '실질문맹률 조사'에서 우리나라 성인이 글자는 읽지만 파악 못하는 실질문맹률 3위에 올랐다.
    • 한국의 중장년층은 약사용 설명서를 읽고 원활하게 이해할 수 없다.
    • 학생들의 독서가 학습만화에 집중되어 있으며, 부모들의 독서 관심이 부족한 현실이다.

    6. 책 읽는 습관

    • 언어 능력의 관점에서 보면 만화와 글 책은 영화와 음악만큼이나 다른 콘텐츠다.
    • 우리 아이들은 교과서를 스스로 읽고 있는 게 아니라 학원에서 선생님의 설명을 듣는 방식으로 학습하는 경향이 있다.
    • 실질 독서율은 초등학교 학생은 10% 이상이지만, 중고등학교 학생들은 스스로 책을 읽는 경우가 드물어지고, 성인 10명 중 4명은 1년에 책 한 권 이상을 읽지 않는다.
    • 해결 방법은 책을 읽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다.
    • 일주일에 한두 시간에서 세 시간 정도만 읽으면 된다.
    • 1개월이 지나면 글이 부드럽게 넘어가며, 6개월 후에는 놀랄만한 성장이 일어난다.
    • 흥미가 가고 언어 수준에 맞는 책을 읽는 것이 중요하며, 재밌게 읽는 것만으로도 언어 능력이 빠르게 발전할 수 있다.
    • 공부 머리 독서법이라는 책에서는 독서를 독서답게  하는 방법이 담겨 있다. 독서를 독서답게 하는 것이 가장 효과가 큰 독서법이다.
    • 주변에서 괜찮은 도서관이나 서점에 가서 관심 있는 책을 찾거나, 재미있는 책을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독서생활이 시작될 수 있다.

     

    사진: Unsplash 의 Blaz Photo

Designed by Tistory.